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파르타코딩클럽 #코딩 #jQuery #Ajax
- 항해99솔직후기 #항해99 #부트캠프추천
- #내일배움단 #코딩프로젝트 #국비지원 #내일배움카드 #스파르타코딩클럽
- 스파르타코딩클럽 #크롤링 #스크래핑
- 부트스트랩 #Bootstrap #웹개발첫걸음 #스파르타코딩클럽
- Today
- Total
목록coding (165)
이모저모

협업 노션 링크 https://url.kr/o3gm4v 시작 나를 포함한 세 명의 개발 starters, 그리고 한 분의 디자이너님을 모셔서 총 4명으로 이루어진 악어떼(🐊❣️)가 결성되었다. 개발 starters라고 한 건, 우리 모두 21년 9월에 스파르타코딩클럽의 내일배움단으로 첫 코딩을 시작한 사람들이었기 때문..!ㅎㅎ 함께 15일 프로젝트로 파이썬 웹개발을 진행한 뒤, 용감하게 외부 공모전에 도전해보기로 했다. 도전 10월 26일부터 시작해 11월을 불태웠던 공모전은 ICT CoC과 서울시 사회서비스원에서 주관한 '피우다 프로젝트'였고, 사회적 약자의 생활개선 및 복지향상이라는 주제였다. 우리는 발달장애인을 비롯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그림카드 방식의 의사소통 애플리케이션을 만..

- webRVC의 기본 개념들 알아보기 👉 webRTC 에서 미디어를 주고받는 방식 3가지. webRTC에서 media connection을 하는 방식에는 3가지가 있다. P2P : Peer to Peer. 웹브라우저들끼리 직접 미디어를 주고받아야 하므로, 클라이언트가 n-1 번 미디어를 송출하는 등 클라이언트 쪽의 부담이 커짐 → 1:1 통신이나 적은 인원 간에서 구현되는 webRTC에 적합하다고 함. SFU : Selective Forwarding Unit. 클라이언트들 사이에 미디어 서버를 두는 방식.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미디어 서버하고만 연결하면 되므로, 부담이 확 줄게 됨. MCU: 브라우저들 사이에 서버가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SFU와 같지만,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서버가 가공까지..
JPA기본강의 필기 _ 김영한님 JPA의 데이터 타입 Entity type @Entity로 정의 데이터가 변해도 지속하는 식별자를 통해 추적 가능 Value type(값타입) int, Integer, String 같이 단순한 값으로 사용하는 자바 기본 타입 및 객체 식별자 없이 값만 있으므로 변경시 추적 불가 3가지 종류 기본값 타입 자바 기본타입(int, double), 래퍼클래스(Integer, Long), String 생명주기를 entity에 의존 기본타입은 절대 공유되지 않는다. (래퍼클래스, String의 경우라고 해도, 참조값을 공유할 수는 있지만 변경은 안 된다) 임베디드 타입(embedded type, 복합 값 타입) 새로운 값 타입을 직접 정의할 수 있음 JPA는 임베디드 타입 주로 기본..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김영한님 강의를 들으면서 필기! 🤔❓ 문제의식 Member와 Team이 연관 매핑이 되어 있다고 하자. 그럼 Member가 조회될 때마다 그 안에서 참조되는 Team도 모두 함께 곧장 조회되어야 할까? 아니면 필요할 때가 되어서야 Team을 따로 불러내는 것이 좋을까? 👉 간단한 답은, 무엇이 더 나은지에 대한 판단은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다르다! (1) 비즈니스 로직 대부분의 경우에 Member 출력시 거의 Team도 함께 호출한다면? => 한번에 모두 땡겨오는 것이 낫다. (2) 그렇지 않다면? => 따로 따로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낫다. (예를 들어 Member만 필요하고 Team까지는 안 필요한데도 굳이 다 불러오는 것은 비효율적이니까) 👉 그런데..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강의(김영한) 필기 🖍 객체와 테이블 매핑 @Entity가 붙은 클래스는 JPA가 관리. 기본 생성자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함.(public, 또는 protected 생성자) final, enum, interface, inner 클래스 사용하면 안됨.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생성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전체 골격을 결정/정의하는 역할의 언어 spring으로 작업하면서, application.properties에 이런 식으로 작성했었는데, update외에도 create, create-drop, validate(엔터티와 테이블이 잘 매핑되어 있는지만 확인) 등의 옵션이 있다. spring.jpa.hibernate.ddl-auto=u..
JPA는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Java의 표준 ORM. JPA가 적용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는 1개의 EntityManagerFactory가 있고, 이로부터 각 요청에 따라 여러개의 EntityManager들이 생성된다. J2EE, 스프링 프레임워크 같은 컨테이너 환경에서는 여러개의 EntityManager가 1개의 영속성 컨텍스트를 공유한다. 이때 영속성 컨텍스트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다. persist 이 영속성 컨텍스트에 귀속시키는(?) 코드모양 => EntityManager.persist(entity); 우리는 이런 모양의 코드를 작성함으로써 객체의 정보를 db에 저장할 수 있는데, 사실 영속성 컨텍스트에 객체를 두는 작업이 곧장 DB에 저장하는 것 자체는 아니다. J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