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내일배움단 #코딩프로젝트 #국비지원 #내일배움카드 #스파르타코딩클럽
- 항해99솔직후기 #항해99 #부트캠프추천
- 스파르타코딩클럽 #크롤링 #스크래핑
- 스파르타코딩클럽 #코딩 #jQuery #Ajax
- 부트스트랩 #Bootstrap #웹개발첫걸음 #스파르타코딩클럽
- Today
- Total
목록coding (169)
이모저모
항해를 수료하고 개발자로 일한지 3개월이 지났다. 😊 2022년 올해는 1월부터 4월까지의 항해를 시작으로 신입 개발자로 지내는 3개월이 지난 오늘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도전과 변화가 많은 해인 것 같다. 얼마 전에 중학교 때 친구에게서 연락이 왔다. 항해99를 고민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작년 말에 항해를 신청할지 고민하던 시기가 떠올랐다. 그때 나는 '컴퓨터 전공자가 아닌데 항해가 너무 힘들지는 않을까? 수료하고 나서 정말 개발자로 취업할 수 있을까?' 등등의 궁금함과 망설임이 많았다. 지금도 그때의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에게 살짝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항해 수료 후 개발자로 지낸 3개월의 생활은 어땠는지, 앞으로의 목표와 계획은 어떤지 등등을 적어두고자 ..
항해99를 선택했던 이유 개발이라는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작년 9월이었다. 스파르타 코딩클럽의 '웹개발종합반'(이하 웹종)을 내일배움단 과정으로 수강했고, 10월에는 웹종 수강생분들과 15일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gather라는 온라인 환경을 통해 모임을 지속하면서도 매우 몰입해서 진행하게 되는 게 신기했다. 12월에는 웹종 프로젝트에서 인연이 닿았던 분들과 함께 공모전(피우다 공모전)에 참가해 상도 받았다. 이런 과정을 거쳐 느낀점은, 코딩이 너무 재미있다는 것..! 그래서 진지하게 개발자를 진로로 꿈꿔보게 되었다. 이러한 나의 (아직은 막연했던 상태의) 흥미와 바람을 검증해보고, 또한 개발자 취업이라는 실현에 이르기 위한 나의 니즈는 아래와 같았다. - 정말 개발을 좋아하는 것인지 확인하기 - ..

협업 노션 링크 https://url.kr/o3gm4v 시작 나를 포함한 세 명의 개발 starters, 그리고 한 분의 디자이너님을 모셔서 총 4명으로 이루어진 악어떼(🐊❣️)가 결성되었다. 개발 starters라고 한 건, 우리 모두 21년 9월에 스파르타코딩클럽의 내일배움단으로 첫 코딩을 시작한 사람들이었기 때문..!ㅎㅎ 함께 15일 프로젝트로 파이썬 웹개발을 진행한 뒤, 용감하게 외부 공모전에 도전해보기로 했다. 도전 10월 26일부터 시작해 11월을 불태웠던 공모전은 ICT CoC과 서울시 사회서비스원에서 주관한 '피우다 프로젝트'였고, 사회적 약자의 생활개선 및 복지향상이라는 주제였다. 우리는 발달장애인을 비롯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그림카드 방식의 의사소통 애플리케이션을 만..
redis를 도입했는데, 현재는 하나의 인스턴스로만 띄워놓았다. 아무래도 write back 방식으로도 사용하다보니 데이터 손실이 더 걱정스럽다. 그래서 redis 를 더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 있다!

- webRVC의 기본 개념들 알아보기 👉 webRTC 에서 미디어를 주고받는 방식 3가지. webRTC에서 media connection을 하는 방식에는 3가지가 있다. P2P : Peer to Peer. 웹브라우저들끼리 직접 미디어를 주고받아야 하므로, 클라이언트가 n-1 번 미디어를 송출하는 등 클라이언트 쪽의 부담이 커짐 → 1:1 통신이나 적은 인원 간에서 구현되는 webRTC에 적합하다고 함. SFU : Selective Forwarding Unit. 클라이언트들 사이에 미디어 서버를 두는 방식.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미디어 서버하고만 연결하면 되므로, 부담이 확 줄게 됨. MCU: 브라우저들 사이에 서버가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SFU와 같지만,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서버가 가공까지..
JPA기본강의 필기 _ 김영한님 JPA의 데이터 타입 Entity type @Entity로 정의 데이터가 변해도 지속하는 식별자를 통해 추적 가능 Value type(값타입) int, Integer, String 같이 단순한 값으로 사용하는 자바 기본 타입 및 객체 식별자 없이 값만 있으므로 변경시 추적 불가 3가지 종류 기본값 타입 자바 기본타입(int, double), 래퍼클래스(Integer, Long), String 생명주기를 entity에 의존 기본타입은 절대 공유되지 않는다. (래퍼클래스, String의 경우라고 해도, 참조값을 공유할 수는 있지만 변경은 안 된다) 임베디드 타입(embedded type, 복합 값 타입) 새로운 값 타입을 직접 정의할 수 있음 JPA는 임베디드 타입 주로 기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