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트스트랩 #Bootstrap #웹개발첫걸음 #스파르타코딩클럽
- #내일배움단 #코딩프로젝트 #국비지원 #내일배움카드 #스파르타코딩클럽
- 항해99솔직후기 #항해99 #부트캠프추천
- 스파르타코딩클럽 #크롤링 #스크래핑
- 스파르타코딩클럽 #코딩 #jQuery #Ajax
- Today
- Total
목록coding (165)
이모저모
Linked List is a connection of nodes. Node consists of two parts - first part is for DATA, second part is for NEXT NODE's ADDRESS. There are 3 types of linked lists. (1) Singly linked list (2) Doubly linked list (3) Circular linked list They are divided by the direction of connection. However, today I'll just focus on the singly linked list..! https://www.youtube.com/watch?v=79OmVgeNoUY This vid..
Keyword 1. JWT JWT(Json Web Token) : Json 형식으로 사용자에 대한 속성을 저장하는 웹토큰. 구조 : Header, Payload, Signature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짐. 각 부분은 Base64로 인코딩 되어 표현 Header { "alg": "HS256", "typ": JWT } alg : 알고리즘 방식을 지정. 서명(signature)/토큰 검증에 사용 typ : 토큰의 타입 Payload : 토큰에서 사용할 정보의 조각들(claim)이 담긴다. 클레임의 종류 3 가지 등록된 클레임 : 토큰 정보 표현을 위한 정해진 종류의 데이터. 선택적 작성 가능 공개 클레임 : 사용자 정의 클레임이자 공개용 정보 저장, 충돌방지를 위해 URI 포맷 사용 비공개 클레임 : 사용자 ..
정말 엄청 고민하고 헤매다가... 풀이를 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책을 보려고 했는데 잘 이해가 안 가다가, 다른 분이 설명해주시는 걸 듣고서야 이해했다..ㅎㅎㅎ 투포인터 방식이라는 게 참 신기하다..! 앞으로 요런 흐름/모양의 아이디어를 나도 잘 떠올릴 수 있으면 좋겠다🕺🏽!! - 이 투포인터 방식은 이런 느낌이다. 왼쪽 포인터가 "나는 지금까지 최댓값 여기야, 너는 얼마니?" 오른쪽 포인터가 "내 최댓값은 너보다는 크다야" 왼쪽 포인터가 "아 정말? 그럼 나는 안심하고 (지금까지 최댓값 - 지금 내 포인터가 위치한 바닥 높이) 만큼은 물을 채워도 되겠구나?!" def get_rain(height): volume = 0 left = 0 # left 는 왼쪽포인터의 인덱스 초기화 right = len(he..
1. 첫 시도 # Input: nums = [1,4,3,2] # Output: 4 # Explanation: All possible pairings (ignoring the ordering of elements) are: # 1. (1, 4), (2, 3) -> min(1, 4) + min(2, 3) = 1 + 2 = 3 # 2. (1, 3), (2, 4) -> min(1, 3) + min(2, 4) = 1 + 2 = 3 # 3. (1, 2), (3, 4) -> min(1, 2) + min(3, 4) = 1 + 3 = 4 # So the maximum possible sum is 4. # 제일 작은 것들끼리 우선 짝 지어야 해. # 만약에 제일 작은 두 친구가 분산되어 있다면 그 친구들이 다 반영이 되니..
1. # Input: nums = [-1,0,1,2,-1,-4] # Output: [[-1,-1,2],[-1,0,1]] # 먼저 생각 정리를 해보기. # 첫번째 숫자 a를 뽑고, 그 다음친구 b를 불러 둔다. # a와 b의 합 (sumOf2)을 구한다. # 0 - (sumOf2) 인 값이 나머지 인덱스 아이들 중에 있는지 찾는다. # 있다면 그 아이들을 짝짓는다. # 없다면 a, b = a + 2 를 불러둔다. # ... 언제까지? b < len(list) -1 일때까지. # 남은 요소들이 3개 이상 남아있다면 # 위의 과정을 다시 한다. def make3SumZero(nums): big_list = [] # 커다란 리스트 (할아버지) 준비! for i, num in enumerate(nums): # n..
문제 # Input: s = "babad" # Output: "bab" # Explanation: "aba" is also a valid answer. 1. 첫 번째 시도 ( 문제가 뚜렷하게 있는 첫 시도!) - 맨 끝 두개를 먼저 잡으려고 했었다. # 처음부터 포인터1 찍어두고 (철수 1) # 그 친구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확인 (철수2, 철수3) # 있으면 그 친구들 찾기 # 더 바깥쪽에 있는 친구부터(철수 3) # 너랑 나랑 손잡고(시작점 끝점맡고) 단어1이라고 해보고, 곧이어 뒤집어서 단어2라고 해보자 # 그 전이랑 같을까? # 같다면 우리가 정답이야 -> return # 아니라면, 아웃, # 같았던 친구 중 한단계 더 앞에 있던 거 와봐 ( 철수 2) # 너랑 나랑 손잡고 단어1이라고 해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