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내일배움단 #코딩프로젝트 #국비지원 #내일배움카드 #스파르타코딩클럽
- 스파르타코딩클럽 #코딩 #jQuery #Ajax
- 스파르타코딩클럽 #크롤링 #스크래핑
- 부트스트랩 #Bootstrap #웹개발첫걸음 #스파르타코딩클럽
- 항해99솔직후기 #항해99 #부트캠프추천
- Today
- Total
목록coding (165)
이모저모

백준 11725 트리부모찾기! 스마트하신 항해원분이 BFS로 발표해주시는 걸 듣고 그분의 tip(?!)을 적용해서 DFS로도 풀어보려고 했다. 코드 전 손으로 정리해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예제들 돌려볼 때는 원하는 출력대로 나오는데 메모리 초과라고 뜬다..! "백준 메모리초과" 라고 검색해보니 꼭 이 문제는 아니더라도 - 방문처리를 해줘야해요 - 이런 조언들이 있었다. 나도 그런 부분에서 잘못하고 있는 걸까? 근데 따로 방문처리할 배열같은 걸 만들 필요가 있을까 모르겠다. 왜냐하면 답변으로 사용할 res 배열을 부모 노드 값으로 채워나가고 있고, 이미 방문했으면 0이 아닐 것인데, if res[child] == 0: 이렇게 쓰는 것만으로는 뭔가 새는 부분이 있나..? ✔︎ 궁금했던 점 - 아래의 코드에..

** 처음에 "시간초과"라고 나오길래 코드 틀린부분이 있는지는 몰랐었다! 맞은 줄 알았는데..^^ 스마트한 팀원님의 도움을 받아 python3만이 아니라 pypy로 돌려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찾아보니 반복작업이 많은 거는 pypy가 더 낫다고 한다) 그리고 또 도움을 받아서 문제를 발견할만한 예제를 입력해 볼 수 있었다! 그래서 발견한 내 코드의 아주 적나라한 잘못은 print(-1)을 반복문 속에 넣어놨던 것이다..!😅 이렇게 해서 코드 고쳐서 제출! 하고 정답입니다를 드디어 받았다~ - 문제. 토마토상자가 여러 층으로 쌓여있다. 익은 토마토의 (1)위, (2)아래층 토마토, 그리고 평면에서의 (3)상(4)하(5)좌(6)우에 인접한 토마토는 그 다음날 익게 된다. (스스로 혼자 익는 토마토는..

솔직히 나는 이진트리가 아직도 너무 낯설다(아니 문제는 연결리스트부터일지도?ㅎㅎ). 그런데 이 문제는 이상하게 금방 풀린 것 같아서 찜찜하다. 물론 난이도가 easy이기는 했지만, 너무 생각/깨달음 없이 푼 것 같다. 제출한 첫 코드는 아래와 같다. 그냥.. 재귀로 들어가면서 계속 좌우 반전시켜볼까 했고 낯설고 이상하게도(?) accept 되었다. class Solution(object): def invertTree(self, root): """ :type root: TreeNode :rtype: TreeNode """ def DFS(node): if not node: return else: node.left, node.right = node.left, node.right DFS(node.left) DF..

나의 뇌는 아직 이진트리랑 낯가리는 중..ㅎㅎ 그래도 계속 하다보면 조금씩이라도 친해지겠지..!🥸 # Definition for a binary tree node. class TreeNode(object): def __init__(self, val=0, left=None, right=None): self.val = val self.left = left self.right = right class Solution(object): longest = 0 def diameterOfBinaryTree(self, root): """ :type root: TreeNode :rtype: int """ def dfs(node: TreeNode): if not node: return -1 # 왼쪽 오른쪽 각 리프 노드까지..

필기를 해보는 건 나한테 너무 필요한 작업이다. 손으로 정리해보면 괜히 정리가 다 된 것 같다는 느낌적인 느낌이 들 때도 있지만,, 역시나 이번에도 손-단계에서는 빠뜨렸던 부분이 아주 퐁퐁 나왔다^--^ '아니 왜 안 될까?' 하다가 디버깅해보면,, 아래 빨간 색처럼 visited 배열만 만들어놓고 조건에서 안 썼다든가 하는, 나의 엉성과 멍청을 깨닫는다ㅎㅎ (친절한 파이참 덕분에 디버깅 해볼 수 있어서 다행이다)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6) ## 제출시에는 recursion error 나오길래 백준의 안내에 따라 이 친구 추가해주었다. n = int(input()) area = [] for _ in range(n): row = map(int, sys.stdin..

진짜 문제를 잘 읽어야 한다..! (사실 너무 문제가 길어가지고 내가 대충 읽기는 했다..) 모음이랑 자음의 개수 조건을 완전히 생각 안한채로 풀고 제출하니까 당연히 틀렸고..ㅎㅎ 수정해서 다시 제출했다. n,m = map(int, input().split()) chars = list(input().split()) chars.sort() res = [0]*n result_list = [] vowels = ["a", "e", "i", "o", "u"] def DFS(L, start): if L == n: result = "".join(res) v_count = 0 for vowel in vowels: # 모음 나올때마다 카운팅 v_count += result.count(vowel) if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