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파르타코딩클럽 #코딩 #jQuery #Ajax
- 스파르타코딩클럽 #크롤링 #스크래핑
- 항해99솔직후기 #항해99 #부트캠프추천
- 부트스트랩 #Bootstrap #웹개발첫걸음 #스파르타코딩클럽
- #내일배움단 #코딩프로젝트 #국비지원 #내일배움카드 #스파르타코딩클럽
- Today
- Total
목록coding (165)
이모저모

t = int(input()) def DFS(sum): global count global n if sum == n: count += 1 elif sum > n: # 단순하지만 이것도 백트래킹이라고 할 수 있겠지..? return else: for i in range(1, 4): DFS(sum + i) for j in range(t): n = int(input()) count = 0 DFS(0) print(count)

✔︎ 거리 문제를 할 때는, 위치별로 거리 표시할 배열(아래에선 distance) 만들어 두기. 아직 낯선 BFS 친해지자..^^ import collections maze = [ [0,0,0,0,0,0,0], [0,1,1,1,1,1,0], [0,0,0,1,0,0,0], [1,1,0,1,0,1,1], [1,1,0,1,0,0,0], [1,0,0,0,1,0,0], [1,0,1,0,0,0,0], ] distance = [[0]*7 for _ in range(7)] que = collections.deque() que.append((0,0)) maze[0][0] = 1 dx = [-1, 0, 1, 0] dy = [0, 1, 0, -1] while que: if distance[6][6] != 0: # que 가..

항해 강의에서 남병관 튜터님 설명을 듣고 다시 공부하고 코드 써보기! 계속 공부하다보면은 스스로 이런 문제를 풀어낼 수 있게 되길🐜📝✊ class Solution(object): def solveNQueens(self, n): """ :type n: int :rtype: List[List[str]] """ visited = [-1]*n answers = [] def DFS(L): if L == n: grid = [['.']* n for _ in range(n)] for v, i in enumerate(visited): grid[i][v] = "Q" result = [] for row in grid: result.append(''.join(row)) answers.append(result) return e..

import collections # 테스트 재료 : 사과 밭 apple_field = [ [10, 13, 10, 12, 15], [12, 39, 30, 23, 11], [11, 25, 50, 53, 15], [19, 27, 29, 37, 27], [19, 13, 30, 13, 19] ] # 코드 시작 # BFS 를 위한 Queue 준비 que = collections.deque() # 탐색 출발 전 세팅 n = len(apple_field) total = 0 total += apple_field[n//2][n//2] que.append((n//2, n//2)) L = 0 check = [[0]*n for _ in range(n)] # 방문 여부 체크할 중첩리스트 check[n//2][n//2] = 1 ..

추들이 주어졌을 때, "1~ 가능한 최대무게(추들 총합)" 사이의 정수 중에서 양팔저울로 잴 수 없는 무게 구하기 문제 1. 손으로 정리 2. 잘못 풀었던 1차시도 (이렇게 하면 양팔저울의 의미 전혀 없구 그냥 부분집합 구하는 거나 다름이 없다..!) def DFS(L, weight): if L == len(nums): possible_set.add(weight) return else: DFS(L+1, weight) weight += nums[L] DFS(L+1, weight) if __name__ == "__main__": nums = [ 1, 5, 7 ] S = 13 possible_set = set() result_list = [] DFS(0, 0) for i in range(1, S+1): if ..
** 이번주 공부 흔적 1. 연결리스트 https://jeojeo.tistory.com/81?category=983815 Linked List _ singly linked list python 구현 Linked List is a connection of nodes. Node consists of two parts - first part is for DATA, second part is for NEXT NODE's ADDRESS. There are 3 types of linked lists. (1) Singly linked list (2) Doubl.. jeojeo.tistory.com https://jeojeo.tistory.com/82?category=983815 linked list - 특정 값을 갖..